여기 저기 사진1699 <사진> 영등포 쪽방촌에 부는 바람 영등포 쪽방촌에 부는 바람영등포 역 옆 고가도로 밑의 쪽방촌에 새로운 바람이 분다. 새로 짓는 원룸이 3동이나 지어지고 있다. 무덥고 추운 날씨를 이겨내는 좋은 시설로 모두가 행복했으면 좋겠다. 2025. 1. 26. <사진> 설 연휴 전 윤석열 파면 촉구집회 준비 모습 설 연휴 전 윤석열 파면 촉구집회 준비 모습집회 시간 몇 시간 전인데도 미리와서 준비하는 모습오늘의 주 무대는 서십자각 즉, 서촌쪽 정부청사 옆.집회가 아니라 축제같다.구름이 광화문을 에워싸고 있네 2025. 1. 25. <사진> 칠궁 칠궁칠궁(七宮, 육상궁(毓祥宮))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의 생모이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일곱 후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이곳은 처음 1725년(영조 1)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의 사당을 조성하고 이름을 ‘숙빈묘(淑嬪廟)’라 하였다. 이후 1744년(영조 20) 이름을 ‘육상묘(毓祥廟)’라 하였다가 1753년(영조 29) 궁원제(宮園制, 왕을 낳은 후궁(사친)의 사당과 무덤을 궁과 원으로 높이는 제도)가 만들어지면서 지금의 ‘육상궁(毓祥宮)’으로 승격되었다.이후 고종과 순종대에 한양 사대문 안에 각각 흩어져 있던 연호궁(延祜宮), 저경궁(儲慶宮), 대빈궁(大嬪宮), 선희궁(宣禧宮), 경우궁(景祐宮)이 육상궁 경내로 옮겨졌고, 마지막으로 1929년 덕안궁(德安宮)이 옮겨지면서 지금의 칠궁.. 2025. 1. 25. <사진> 한겨울의 인왕산 한겨우울의 인왕산해발 338.2m의 낮은 산이지만 웅장미와 수려한 미를 겸비한 산이로다. 이 산자락에는 윤동주문학관도 있다.울타리 처럼 낮은 한양도성 성곽이 그림같은 곳 인왕산지형지물을 최대한 이용한 성곽곳곳에 보수하기 위한 시설물이 설치되고으아~~ 저 높은 곳을? 그러나 겁먹지 마시라. 해발이 안 높으니까.이 곳이 명당인데 안전을 위해 설치한 추락주의가 아쉽다.무척 높아 보여도 얼마 안 높지요.멀리 북한산 족두리봉 향로봉 비봉 사모바위 승가봉 문수봉 보현봉(죄로부터 봉우리)이 보이고 청외대 뒷산인 백악산이 보이고무너지는 곳을 보수하기 위해기차바위도 마빡을 시원하게 보이고인왕산 부부소나무 Y자 나무가 암소나무윤동주의 서시를 인용한 서시정. 그낻 왜 개님이?윤동주 시인의 언덕윤동주 문학관 2025. 1. 25. <사진> 사직단, 단군성전 사직단, 단군성전토지의 신인 사와 곡식의 신인 직을 모시는 곳이 사직단. 농본국가였던 조선이 농업에도 위계질서를 수립하기 위해 설치한 사직단. 전두환 반란 쿠데타군이 활동했던곳 사직단.우뚝 솟은 바위가 있는 산이 인왕산단군성전 2025. 1. 25. <사진> 광화문 윤석열 구속 촉구 집회 광화문 윤석열 구속 촉구 집회선진 자유 민주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을 한 순간에 아프리카 미개 독재국 수준으로 국격을 떨어뜨린 위대한 역적 양아치 돼지임금 윤석열을 구속하라는 집회가 2025. 1. 18(토) 광화문 앞 삼거리에서 열렸다. 국민들의 끓어오르는 분노를 누르며 이성적으로 차분히 진행되는 축제 같은 집회를 통해 국민들의 높은 시민의식이 저질의 윤석열과 내란의 힘을 자랑하는 여당뿐만 아니라 똥과 된장을 구별 못하는 늙고 낡은 이들에게 깨우침의 시간이 되길 바라며 새 역사 창조의 위대한 길을 함께 개척해 나가길 희망해 본다.윤상현 네 이놈~ 맴매 맞자~! 는 행위 예술도 하고다양한 의견과 주장을 나누는 공론의 장4시에 시작하는 집회에 자발적으로 자리 잡고 앉아서팔레스타인들의 인권과 생명 보호를 주장하.. 2025. 1. 18. <사진> 역사의 현장 - 내란 수괴 체포 구속 촉구 집회 역사의 현장 - 내란 수괴 체포 구속 촉구 집회2025. 1. 4(토) 광화문 삼거리 집회 현장 - 정의감에 불타는 민주 애국 시민들의 애국심의 분출 현장.경복궁 앞 월대는 비워놓고 - 문화유산 보호"국민이 주인이다" 대형 깃발을 들고 2025. 1. 4. <사진> 청계천의 빛 청계천의 빛 2024. 12. 30. <사진> 광화문 광장의 야경 광화문 광장의 야경 2024. 12. 30. <사진> 내란수괴 윤석열 파면과 체포 촉구 집회 내란수괴 윤석열 파면과 체포 촉구 집회 비상식적이고 반문명적이며 반국가적인 내란을 저지르고도 뻔뻔하게 적반하장식으로 거짓말과 음모를 일삼는 미친 윤석열을 파면하라는 국민들의 함성이 모인 집회 이모저모. 이 추운 겨울에 이렇게 많은 인파가 왜 모였을까? 저 반국가세력들은 생각이나 했을까? 오히려 제발 저린 놈들이 광화문 사거리에서 반대 집회를 종교집단과 같이 열며 광기를 부리는 것을 보니 이것 참~~, 어쩌자고, 어떻게 하려고,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지금 제정신으로 하는 짓인가? 윤석열이 저지른 무능하고 무식하며 세상의 흐름과 거꾸로 가며 저지른 반역죄로 지금 모든 국민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를 조금이라도 생각해봤을까? 국가적으로 불행한 이런 집회에 참여한 젊은이들은 춥고 고달픈 윤석열 파면 촉구 집.. 2024. 12. 28. <사진> 역사적 장소 - 교동소학교, 운현궁, 헌법재판소, 천도교 수운회관 역사적 장소 - 교동소학교, 운현궁, 헌법재판소, 천도교 수운회관교동초등학교교동소학교 출신 - 심훈(소설가), 윤극영(반달 작곡), 윤석중(새나라의 어린이 작곡), 어효선(파란 마음 하얀 마음 작곡)운현궁 - 무료입장노안당 - 대원군 이하응 대감이 거처하며 수 많은 사람들을 만나던 곳우뚝 솟은 양관은 현재 덕성여대 소유노락당이로당 - 두 늙은이의 집(대원군과 그의 처 민씨)담장의 아름다운 무늬 헌법 재판소 - 윤석열 탄핵 심판소방정환과 어린이 운동 발상지천도교 수운회관내부 모습 2024. 12. 25. <사진> 탑골 공원과 그 주변 무료 급식 현장 탑골 공원과 그 주변 무료 급식 현장탑골공원 주변에는 무료급식소가 3곳이 있다. 고정식 2곳, 이동식 1곳.허경영의 하늘궁에서 나눠주는 도시락을 받기위해 길게 두 줄로 대기. 번호표 없으면 못받음탐골 공원 옆 무료급식 대기줄 - 사회복지 원각 무료 급식소탑골 공원비둘기 똥으로부터 탑을 보호하기 위해 - 원각사 9층 석탑원각사 무료 급식 대기줄종로 3가에는 이발소가 참 많음송해국밥집 - 돈없는 사람들에게는 고마운 국밥집도장이 사라지는 시대, 시계 수리가 필요없는 시대에 생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낙원상가 옆 골목의 아구탕, 찜 골목 2024. 12. 25. <사진> 청계천 빛의 축제와 동묘, 벼룩시장 청계천 빛의 축제와 동묘, 벼룩시장내란으로 혼란하고 국민의 삶이 피폐해졌만 서울시청 앞 스케이트 장에서는 겨울을 즐기는 시민들이 있다. 이런 평범한 삶이 당연히 오는 것은 아님을 이번 내란쿠테타로 다 알게 됨을 다행으로 생각한다.광통교전태일 다리동묘주변 벼룩시장레코드 가게동묘 = 관우사당송해국밥집 2024. 12. 24. <사진> 매서운 추위속의 여의도. 한강 공원 매서운 추위속의 여의도. 한강 공원범죄영화속에 자주 등장하는 영등포 지하차도와 독특한 인도 2024. 12. 22. <사진> 군산 나들이 군산 나들이일본 사찰의 건축양식으로 지은(일제 침략 때) 동국사대웅전범종각 - 일본식 종이 메달려 있음소녀상과 대비되는 일본 풍의 절천불전대웅전 내부는 한국의 절과는 다르다. 건축 양식이 다르니까.부교영화 타짜1편의 무대였던 독특한 형태의 중국음식점 빈해원해물 듬뿍 군산짬뽕짬뽕 거리신흥동 일본인 가옥 - 아주 대 저택으로 부자가 살았던 곳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지 - 초원사진관 2024. 12. 21. <사진> 2024. 12. 14. 양아치 돼지임금 탄핵의 순간 2024. 12. 14. 양아치 돼지임금 탄핵의 순간 2024. 12. 14. <사진> 내란 수괴 양아치 돼지임금 탄핵집회 모습 내란 수괴 양아치 돼지임금 탄핵집회 모습2024년 12월 7일저녁 국회의사당 앞에서 임금놀이 왕놀이를 하며 나라의 모든 민주적 시스템을 구석구석 파괴하고 아작내는데에 진심이었던 양아치 돼지임금의 헌법을 파괴하며 저지른 내란죄 죄목으로 탄핵하라고 외치는 탄핵집회모습 탄핵소추 투표 불성립이 "내란의 당"인 "국민의 짐" 의원이라는 연놈들이 책임과 의무를 방기하여 투표 불성립으로 탄핵이 불발되게 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 역적놈들을 능지처참해야 다시는 이런 개같은 것들이 안 나오지....아래 사진은 12월 10일(화) 국회 앞 모습 - 양아치 돼지임금이 탄핵될 까지 끝없이 이어질 탄핵집회를 위해 준비하고 대기하는 참가자들의 모습이 보인다."하야"는 왕조시대나 쓰는 말이지 민주국가에서는 "퇴진" 용어를 사용함이.. 2024. 12. 10. <사진> 관광객이 확 줄어든 남산 관광객이 확 줄어든 남산양아치 돼지임금의 내란 쿠데타 실패 후 남산에는 외국 및 국내 관광객들이 확실히 줄어들었음을 볼 수 있었다. 2024. 12. 9. <사진> 가을이 가네 가을이 가네 2024. 11. 24. <사진> 가을이 저물어 가는 모습 가을이 저물어 가는 모습 2024. 11. 20. <사진> 덕수궁의 단풍 덕수궁의 단풍 2024. 11. 19. <사진> 사직단공원 - 인왕산 - 윤동주 기념관 - 창의문의 단풍 사직단공원 - 인왕산 - 윤동주 기념관 - 창의문의 단풍사직단 담장단군성전인왕산 원경서시정윤동주 시인의 언덕창의문 2024. 11. 19. <사진> 종로의 가을 종로의 가을갑자기 내려간 기온에 후덜덜~~ 낙엽은 바람에 이리저리 휩쓸려 가고 사람들은 두꺼운 옷을 입고 주머니에 손을 넣고 햇빛쪽으로 걷는구나. 12월도 아닌데 벌써 겨울분위기를 내는구나환구단대한성공회교회조계사수송공원의 단풍연말분위기 막 잡는구나 2024. 11. 18. <사진> 신문로 주변의 가을 신문로 주변의 가을위압적인 새문안 교회서울 시내를 누비던 전차해장국이 유명한 청진옥과 이사왔나? 무교동 낙지집 2024. 11. 12. <사진> 구세군 박물관 구세군 박물관구세군 미술관에 전시 중인 작품들구세군 역사 박물관 2024. 11. 12. <사진> 정동의 가을 정동의 가을 2024. 11. 12. <사진>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시립 미술관 2024. 11. 12. <사진> 도심의 가을 도심의 가을 2024. 11. 12. <사진> 미시령 가는 길에 올려다 본 울산바위 미시령 가는 길에 올려다 본 울산바위 2024. 11. 10. <사진> 동명항 영금정 동명항 영금정영금정동명항 2024. 11. 10. 이전 1 2 3 4 ··· 57 다음